본문 바로가기

삼룡이 과수원

[한국기업평가]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정부가 '경제적 해자(垓字)'를 마련해준 기업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수익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가 밝은 기업

  2019년 깜짝 배당으로 인해 배당주의 다크호스로 떠올랐던 기업  

  하지만, 2019년 배당을 생각하고 진입하신 분들은 눈물을 흘리고 계신 기업.

  분명히 좋은 기업인 '한국기업평가'를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한국기업평가 개요

한국기업평가 홈페이지 : www.korearatings.com

  가. 한국기업평가의 사업구조

    기업어음 등 유가증권을 발행하는 기업 등을 대상으로 신용평가 / 사업 자체에 대한 평가 / 위험관리 솔루션 등 제공

  나. 배당

    1) 최근(2020. 12月 기준) 배당금 : 주당 2,907원

    2) 2021. 5. 24.(월) 종가 85,800원 기준으로 연 3.39%

       ※ 배당금 연혁을 보시려면 ☞ 한국기업평가 주식 수와 2010년~2020년 배당금 정리 (tistory.com)

  다. 사업상 특징

    1) 경제적 해자 기업 : 기업 신용평가 등에 대해서 국내 유일 기업

    2) 인적자원을 바탕으로 사업이 진행되므로 건물 임차 등 고정지출이 적음

 

2. 주식보유 현황 : 없음

 

3. 한국기업평가에 대한 생각정리

    ※ 개인적인 의견이며, 투자에 대해서는 다른 자료도 찾아보면서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가. 배당주의 함정

한국기업평가 일봉 차트(181228~210524) [출처 : 네이버증권]

    1) 한국기업평가는 2020. 3. 25.경부터 상승세를 타기 시작하여, 2020. 12. 28. 최고가인 118,500원을 찍었습니다.

       이후 2021. 5. 24. 오늘은 -30%에 근접할 정도로 떨어진 85,800원으로 마무리된 상황입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요?

     2) 한국기업평가는 배당성향이 높은(65% 이상) 주식이었습니다.

        또한 사업특성으로 인해, 목돈이 들어가거나 고정지출을 감안해서 쟁여둘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3) 2019년 4분기, 한국기업평가는 8,518원이라는 역대급 배당을 실시합니다.

        공시일(20.02.06) 기준 14.1%에 해당하는 엄청난 배당인데요.

        이는 5년간 누적되었던 잉여 현금을 털었기 때문입니다.

     4) 삼성전자로 치면 특별배당에 해당하는 것인데, 많은 분들이 이 배당금이 지속될 것으로 생각하시고 진입하신 것 같습니다.

        실제 배당락이 11,500원이었는데요.

2020년 배당락에 해당하는 2020. 12. 29. 종가는 전일에 비해 11,500원이 떨어졌다. [출처 : 네이버증권]

        많은 분들이 앞으로도 2019년과 같은 배당이 지속될 것이라 믿으신 듯 합니다.

 

  나. 거래 주식수가 적어서 장중 변동폭이 안정적이지 못하다.

      한국기업평가는 생각보다 호가마다 걸려있는 주식수가 적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100개 이내 구입으로 10개 호가를 변동시킬 수 있을 때도 있는데요

      이 때문에 일시적으로 시장가가 교란될 수도 있습니다.

      (배당금을 노리고 장투하시는 분들에게는 크게 상관은 없는 내용입니다.)

 

  다. 지금은 힘을 못쓰지만 분명히 좋은 주식

    1) 한국기업평가는 2019년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근 6년간은 배당금을 꾸준히 상승시켜온 주식입니다.

        ※ 2015년 1,537원 → 2016년 1,947원 → 2017년 2,250원 → 2018년 2,360원 → 2019년 8,618원 → 2020년 2,907원

    2) 또한, 사업의 필수성, 해당 분야의 유일한 기업인 점, 고정지출이 적은 점 등은 향후 배당정책에 먹구름을 드리울 일은 없습니다.

 

  라. 다만, 진입은 좀 더 기다려보심이?

    1) 한국기업평가는 4%이상의 고배당 주에 해당합니다.

        2019년 특별배당으로 인하여 왜곡이 발생하였기에 현재로서는 고평가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2) 2021년에는 배당금을 3,200원으로 예상하고, 4%의 배당률을 보자면

       약 80,000원 정도가 진입하기에 괜찮은 가격이지 아닐까 싶습니다.

 

  마. 매수시점은?

    1) 한국기업평가는 3분기 / 4분기 배당여부가 균일하지 못합니다.

    2) 즉, 매수를 생각하신다면 9월 28일에는 매수 여부를 결정하셔야 할 것입니다.

        ※ 2017년, 2018년은 3분기 배당금이 4분기 배당금보다 압도적으로 큼

    3) 혹은 11월 초에 3분기 배당금에 대한 공시가 나오는 것을 보고 결정하시면 됩니다.

        3분기 배당이 없거나 적다면, 4분기 배당을 노리고 진입하면 될 것이며,

        3분기 배당이 높다면, 2022년 배당을 노려야 할 것입니다.